의학

리뷰 네비게이션

의학

본문내용

목록

제목

교육>칼럼>책속의 질문, 「생각이 돈이 되는 순간」 | 교육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관리자 | 조회 1992 | 2019-03-22 16:00

본문 내용

내 생각이 돈이 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4차 산업혁명시대에 진짜 중요한 것은 생각이다. 사람들의 생각이다. 사람들의 마음을 훔치는 생각이 있다면 이제 적은 비용으로 얼마든지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생각이 돈이 되는 순간>의 저자이며 빅데이터 전문가인 엘런 가넷은 베스트셀러 작가, 유명 셰프,히트 싱어송 라이터, 최고 인기 유튜버 등 창의성 분야의 천재 크리에이터를 만나 인터뷰를 했다.

어떻게 해야 생각이 돈이 되는 걸까?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소위 천재라고 불리는 사람들의 머리에서만 떠오르는 것일까? 아이디어를 내놓은 사람들도 그렇게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크리에이터들은 샤워하다가, 산책하다가 갑자기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경험을 한 경우가 많다. 그 것은 바로 소비, 모방, 창의적 공동체, 반복의 공식이다.

 

소비

소비란 자신의 분야에서 돈을 쓰고 소비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넥플릭스 최고 콘텐츠 책임자인 테드 사란도스는 16살 전문대생일 때 종류를 가리지 않고 닥치는 대로 영화를 섭렵했다. 그래서 그는 열여덟 나이에 이미 영화 전문가가 되었다. 영화의 어떤 점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지 정확히 꿰뚫고 있던 그는 비디오 점원을 넘어서 넷플릭스 최고 콘텐츠 책임자가 되었다.

 

모방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흑인이 등장하는 로맨스 소설로 새로운 장르의 문을 연 비벌리 젠킨스가 있다. 그녀는 9살 때부터 도서관에 있는 책을 모두 섭렵했고, 어떤 패턴에 의해 로맨스 소설을 쓴다는 이야기를 했다. 해피엔딩, 모든 희망이 사라진 순간, 그리고 섹스 공식이 있다는 것이다. 그 공식에 따라 모방하면 우리도 창의적인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창의적 공동체

천재라는 이미지를 떠올리면 보통 신경질적으로 혼자 고뇌하는 모습을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그들에게는 함께하는 사람들(마스터 티처, 상충하는 협력자, 모든 뮤즈, 유명 프로모터)이 있었다. 노벨상 수상자를 조사해 본 결과 명예를 함께 나눈 멘토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보통 학계는 젊은 학자의 이름을 제외시키는데 노벨상 수상자들의 멘토는 그 정반대였다. 심지어 자신들의 이름을 제외하고 제자의 이름만 단독으로 내세운 적도 있었다. 즉 당신과 시너지를 내는 사람들과 함께 일할 뿐 아니라 당신의 업적을 치켜세워줄 사람과 함께 있었다는 점이다.

 

반복

반복이라는 의미는 무조건 열심히 많이 하라는 의미가 아니다. 아이디어를 다듬는 것이다. 아이디어를 다듬을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소비자의 취향과 그들의 욕구 만족이다. 소비자의 피드백을 받으며 아이디어가 먹힐지 안먹힐지 다듬는다 보통 아이디어가 소비자로 출시되려면 몇 년이 걸리기도 한다. 그러기에 2~3년 후 소비자의 트랜드를 알아야 한다. 그래야 소위 대박 나는 아이디어가 되는 것이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대중에게 인식되었을 때 빛을 발하는 것이다.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비밀은 그에 대해 많이 보고, 듣고, 생각하고 패턴을 익힌 다음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그룹과 함께하며 아이디어를 다듬는 과정을 거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진짜 좋아하고 하루 종일 생각하고 있는 분야에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온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당신이 좋아하는 아이디어는 무엇인가?

글 김재원 (책속의 질문 대표)

 

 

 

 

.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목록

리뷰 네비게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