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리뷰 네비게이션

의학

본문내용

목록

제목

의학> 정보>환절기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 증가 | 의학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관리자 | 조회 1926 | 2019-04-18 20:25

본문 내용

알레르기 유발물질 회피와 예방이 중요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최근 5년 간(2013~2017)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중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J30)’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건강보험 다빈도 3위 질환으로 2017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질환의 10만명당 진료인원은 13,530명으로 전체 건강보험 가입자의 13.5%가 진료를 받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9세 이하 38.4%, 1018.1% 순으로 나타났고, 20대 이상은 9~12%대의 진료 비율을 보였다.

 

성별로는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보다 1.2배 더 많았다. 연령별로 나누어 보면 19세 이하의 청소년에서는 여성과 남성이 비슷했으나, 30대는 여성이 1.7, 20대는 여성이 1.5배로 큰 차이를 보였다. 이 차이는 40대 이상으로 갈수록 줄어들어 70세 이상에서는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의 0.7배로 오히려 적게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정효진 교수는 9세 이하 어린이의 38.4%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의 진료를 받고 성인 여성이 남성보다 진료를 더 많이 받는 이유에 대해 알레르기 비염의 경우 항원에 대한 감작이 소아기에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며, 유전적 소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족력이 있는 경우 그 유병률이 증가하게 된다.

 

어릴 때부터 알레르기 질환(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기관지 천식)은 순차적으로 발병하고,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상이 약해지며, 알레르기 피부반응의 반응 정도도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편도 아데노이드 비대, 불완전한 부비동의 발달 및 부비동염 등의 원인 인자로 인해 성인에 비해 증상이 쉽게 나타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염으로 진료 받는 소아 환자의 수가 타 연령대에 비해 높을 수 있으며, 중이염, 부비동염, 인후두염이 동반될 수 있어 적극적 치료가 필요하다.

여성의 경우, 생리 중이나 임신 시에 내분비계 호르몬, 특히 혈중 에스트로젠 수치의 변화에 따라 심각한 코막힘, 수양성 비루 등의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다. 임신 후기에는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폐경 후에 나타나는 호르몬 변화는 비점막의 위축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폐경 후 여성에서는 관련 증상들이 남성과 차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고 설명하였다.

2017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환자는 689만 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3.7% 증가하여 다빈도 5위에서 3위로 상승하였다. 최근 5년 동안 건강보험 가입자 중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2013597만 명에서 2017689만 명으로 연평균 3.7% 증가하였다. 성별 진료 인원은 남성이 연평균 3.9%, 여성이 3.5% 증가하여 2013년 여성이 남성보다 1.2배 더 많던 것에서 20171.1배로 차이가 줄어들고 있다

 

출처 국민건강 보험공단 보도자료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목록

리뷰 네비게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