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리뷰 네비게이션

의학

본문내용

목록

제목

문화>영화리뷰>기생충 | 문화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관리자 | 조회 2128 | 2019-06-08 12:31

본문 내용

냄새으로 구분 짓는 상류층과 하층민의 대비

 

 

 

대한민국 영화사상 최초로 칸느영화제 황금 종려상수상작이 나와 최근 영화계가 시끌벅적하다. 도시 하층민과 상류층을 극적으로 대비시켜 풍자한 영화 기생충’(봉준호 감독)은 개봉 이틀 만에 단숨에 누적 관객 수 100만을 돌파하고, 연일 100만명 이상 누적관객수를 늘려가고 있다.

 

기택(송강호)은 변두리 반 지하에서 변변한 직업도 없이 살아가는 도시 하층민 가장이다. 우연히 아들 기우(최우식)가 미국으로 유학을 가는 친구의 부탁으로 박사장(이선균)의 큰 딸의 가정교사로 들어가면서 본격적인 스토리가 전개된다.

며칠 후 기우는 자신의 여동생 기정(박소담)을 미술심리치료를 전공한 실력자로 둔갑시켜서 심리 장애가 있는 박사장 아들의 미술교사로 들어오게 한다. 기정은 운전기사를 모함하여 해고당하게 한 다음 아버지 기택을 운전기사로 소개하여 취업을 시킨다. 마지막으로 가정부 문광(이정은)을 곤란한 지경으로 몰아 누명을 씌워 내쫓은 다음 엄마 충숙(장혜진)을 새 가정부로 들이게 하여 일가족 4명이 다 한 집에서 일하는 데 성공한다.

 

기생충이라는 제목만 보고 전염병이 창궐하여 대재앙이 일어나는 영화라고 지레짐작했는데 실제 영화 내용은 진짜 기생충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 온 가족이 박사장네 집에서 일하게 되는 장면까지 보고 나서야 상류층에 고용되어 먹고 사는 도시 하층민을 기생충에 빗대어 이름 붙인 것을 알게 된다.

 

영화는 스토리가 전개되는 내내 냄새를 복선으로 깔고 가는데 극 중 냄새는 상류층이 하층민을 경멸하는 장치로 사용된다. 극 중 박 사장은 아내인 연교(조여정)에게 운전기사 기택에게서 이상한 냄새가 난다고 여러 번 이야기하고, 기택은 그때마다 우연히 듣게 된다. 박사장의 어린 아들 역시 냄새에 관해 민감하여 기택 뿐 아니라 기우, 기정, 그들의 엄마인 가정부 모두 똑같은 냄새가 난다고 주장 한다. 그 냄새는 바로 습한 지하실에서 나는 퀴퀴한 냄새로 네 사람이 한집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나는 냄새이다.

 

또한 박사장은 운전기사인 기택에게 선을 분명히 그어놓고 그 선을 넘어오는 것을 결코 용납하지 않는다. ‘은 사적으로 친근감 있는 질문이나 관심을 표명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사는 기사의 업무만 충실하면 되고 가정부는 가정부가 할 일만 하면 된다. 거기서 선을 넘는 인간적인 교류나 친분은 있을 수 없다. ‘냄새이라는 두 가지개념으로 스스로를 상류층으로 규정하는 박사장의 특권의식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영화는 후반부의 충격적인 반전이 압권이다. 박 사장 일가가 캠핑을 떠난 날, 기택의 가족은 박사장의 집에서 제 집인 양 거실에서 술판을 벌이고 있었다. 그런데 가정부로 일하다가 억울한 누명을 쓰고 쫒겨 난 문광이 비바람이 몰아치는 한밤중에 느닷없이 들이닥친다. 문광이 박사장네 집에서 가정부로 일하는 내내 깊은 지하실에 수 년 간 자기남편을 숨겨서 살게 한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지면서 극은 손에 땀을 쥐게 하는 본격적인 스릴러로 반전된다.

 

영화 기생충은 가진 자들의 특권의식을 꼬집는 동시에 가난한 사람들의 가진 자에 대한 동경을 냉소적으로 바라보게 한다. 좀 더 가졌다고 마치 다른 종족인 양 오만하지 말 것이며, 가난하다고 비굴하게 살지 말라는 메시지가 은연중에 스며든다.

열악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도시 하층민의 신산한 생활상과 마치 기생충처럼 가진 자들에게 기생하는 무산자들의 삶의 방식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면서 끝내 씁쓸한 여운을 남긴다.

 

글 이상희 수석기자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목록

리뷰 네비게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