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리뷰 네비게이션

의학

본문내용

목록

제목

건강>정보>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 건강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관리자 | 조회 1774 | 2019-09-09 19:47

본문 내용

추석 명절 기간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

 

 

 


질병관리본부는 추석 명절 기간 동안 가족, 친지 간 교류 증가에 따라 발생하기 쉬운 물과 식품으로 인한 감염병과 성묘, 농작업 등 야외활동 시 감염될 수 있는 진드기 매개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하였다.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은 명절기간 동안 상온에 장시간 노출되어 부패될 수 있는 음식의 공동섭취 등으로 집단 발생이 우려되므로 예방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예방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예방수칙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기

물은 끓여 마시기

채소·과일은 깨끗한 물에 씻어 껍질을 벗겨 먹기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에 조리하지 않기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 도마 조리 후 소독, 생선·고기·채소 등 도마 분리 사용 등

 

특히 올해는 A형간염 환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 예방을 위해서 조개류 등 음식물을 익혀먹고, 안전한 물 섭취, 그리고 손 씻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해야 하고 가족 중 A형 간염 환자가 발생한 경우 같이 생활하는 가족은 A형간염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

A형간염 예방수칙

조개류 익혀 먹기 (조개젓 섭취 시 주의)

요리 전, 식사 전, 용변 후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안전한 물 마시기

채소나 과일은 깨끗이 씻어 껍질 벗겨 먹기

A형간염 고위험군은 예방접종 받기

B·C형 간염 환자, 간경변, 혈액응고질환자

최근 2주 이내에 환자와 접촉한 사람은 예방접종 받기

 

또한 비브리오패혈증 매년 8~10월 사이에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만성간질환, 당뇨병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은 어패류를 반드시 익혀 먹어야 하며, 피부에 상처가 있는 경우에는 바닷물과 접촉을 피하도록 한다.

가을철(9~11)에 주로 발생이 증가하는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등 진드기 매개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성묘, 벌초, 농작업 등 야외활동 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여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귀가 즉시 샤워나 목욕을 하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쯔쯔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가피(검은 딱지)가 나타날 수 있다.

진드기 매개감염병 예방수칙 및 주의사항

작업 및 야외활동 전 작업복과 일상복은 구분하여 입기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진드기 기피제 사용이 도움이 될 수 있음

작업 및 야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 등)활동 시 풀밭 위에 옷을 벗어 두거 나 눕지 않기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 하여 햇볕에 말리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기

작업 및 야외활동 후 옷을 털고, 반드시 세탁하기

즉시 목욕하고, 옷 갈아입기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기

진드기에 물린 것이 확인되면 바로 제거하지 말고 의료기관 방문

2주 이내에 고열,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 있을 경우 진료받기

 

감염병과 더불어 벌 쏘임 또는 뱀 물림 피해를 줄이기 위해 벌초 등 야외활동 시 밝은 색 옷과 모자 착용, 풀숲 작업 시 장화 착용으로 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2인 이상 집단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보건소 및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39)로 신고해야 한다.

 

출처 질병관리본부 보도자료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목록

리뷰 네비게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