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리뷰 네비게이션

의학

본문내용

목록

제목

교육>칼럼>M/Z세대 키워드 | 교육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관리자 | 조회 1764 | 2019-10-02 20:01

본문 내용

M/Z세대와 소통하기

 


대학내일20대연구소에서 작성한 2019년 밀레니얼-Z세대 트랜드 키워드 5가지가 있다. M/Z세대를 이해하고 소통하기 위해서 필요한 자료이다. 그들의 가치관, 관계, 사회인식, 콘텐츠, 소비성향을 소개한다.

첫째, 가치관 : 마이싸이더(My + Side + er). 자신만의 개성을 추구하기 위해서 스스로 기준을 세우고 따른다. 자신의 가치관과 맞지 않으면, “저 퇴사합니다라는 말 한마디로 당장 회사를 그만두기도 한다. 인생의 중요한 결정은 가족이나 주변의 의견보다 자신의 만족을 우선으로 고려한다. 사회나 타인에게 인정받는 삶의 방식보다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택한다. No대학, 비혼주의, 멀티잡 등의 삶의 방식을 선호하는 경향이다.

둘째, 관계 : 가취관(가벼운 + 취향 중심의 + 관계). 가벼운 취향을 중심으로 모인다. 취향공동체를 지향한다. 취미, 관심사 기반의 모임을 갖고 선택적 비의무적 관계를 유지하며 자기 결정권이 우선 보장되는 곳을 선호한다. 여가 시간을 혼자 보내는 것을 즐긴다.

셋째, 사회인식 : 소피커(소신 +Speaker) 자신의 소신을 거리낌 없이 말한다. 자신의 관심과 참여로 사회가 긍정적으로 변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불편한 것에 대해서는 의견을 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넷째, 콘텐츠 : 팔로인(Follow + ). 검색보다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을 따른다. 밀레니엄 세대의 1인 크리에이터 영상 콘텐츠 이용률이 70%가 된다. 과거엔 일반연예인을 따라하는 경우가 높았는데 요즈음은 유튜버의 정보를 신뢰한다. 즉 자신보다 경험과 지식을 많이 쌓은 신뢰할 수 있는 사람으로 정보를 선별하여 이용한다.

다섯째, 소비 : 실감세대(實感 + 世代). 오감을 만족시키는 현실 같은 감각에 끌린다. 시각중심에서 벗어나 다양한 공감각적 자극을 원하는 세대이다. 낯설음이 설레임을 준다.

현재 많은 대한민국의 20-30대의 젊은이들은 치솟는 물가, 등록금, 취업난, 집 값 등 경제적, 사회적 압박으로 인해 스스로 돌볼 여유도 없는 실정이다. 연애, 결혼, 출산, 인간관계, 그리고 내집 마련도 포기하고 있다. 여기에 덧붙여서 꿈과 희망까지 버리고 살아가는 젊은이들이 증가하고 있는 현상은 국가의 미래를 위해서 심각한 우려가 된다. 이들이 희망을 갖고 사회인으로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모두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할 시기이다.

 

글 기동환 원(핵심인재평생교육원)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목록

리뷰 네비게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