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디스크’는 중장년층, ‘거북목 증후군’은 젊은층 | 건강
관리자 | 조회 2399 | 2016-10-22 09:01
최근 5년간 건강보험, 의료급여 및 보훈 분석 결과
61%가 스마트폰, 인터넷 과의존으로 거북목증후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목디스크 관련 질환’에 대해 최근 5년간(2011~2015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의료급여 및 보훈)를 분석한 결과, 2015년 진료인원은 약 265만명으로 2011년(약 227만명)에 비해 16.6%증가 했다고 밝혔다.
‘목디스크 관련 질환’중 ‘목디스크 및 경추통’은 대부분 중․장년층이 많으나, 이 중 ‘거북목 증후군’은 젊은층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디스크 및 경추통’ 진료 현황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60대가 8,371명으로 가장 많으며, 이어 50대(8,215명), 70대(7,905명) 순(順)이었다.
‘거북목 증후군’은 인터넷과 IT 기기 보급으로 인하여 발생될 확률이 높으며, 특히 다른 연령층에 비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인터넷 이용이 많은 10~30대에서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한편, ‘거북목 증후군’은 2011년에 비해 2015년에는 젊은층 진료인원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거북목 증후군’의 가장 좋은 예방 방법은 바른 자세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거나 운전을 하는 등 고개를 앞으로 숙이는 자세를 장시간 취할 경우 ‘거북목 증후군’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눈높이에 맞게 사용하여야 하며, 꾸준한 스트레칭으로 긴장을 풀어주는 등 바른 척추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사평가원 도재원 전문심사위원은 “목뼈가 휘어 변형되면 목의 무게 부하로 인해 목디스크, 척추변형 등 여러 가지 관련 질환들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며, 평소 바른 스트레칭과 바른 자세 유지 등을 통해 건강한 목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 ‘거북목 증후군’이란?
앞 쪽으로 약간의 C형 곡선을 그려야 할 목뼈가 바르지 못한 자세로 인해 1자 또는 역 C형으로 변형되는 증상이다. 고개를 앞으로 숙이고 있는 자세가 오래 진행되면 경추, 어깨 주위의 근육을 약화시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일반적인 상태보다 목에 무리가 갈 수 있어 뒷목과 어깨 결림, 두통(후두부)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무의식적으로 고개를 앞으로 숙이고 사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이용 시 바른 자세로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며, 부득이하게 장시간 사용할 경우 틈틈이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 내용 출처: 보건복지부, 미래창조과학부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