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리뷰 네비게이션

의학

본문내용

목록

제목

정보> 한약 안전성, 국가가 검증하겠습니다! | 의학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관리자 | 조회 2318 | 2016-12-29 16:49

본문 내용

임상시험용 한약제제 생산시설, 탕약표준조제시설 등

3개 공공인프라 구축에 3년간 약 300억 원 투

   

 

 

보건복지부는 한약에 대한 안전성·유효성 검증을 지원한다. 한약의 표준화·과학화를 통해 한약의 산업화는 물론 해외진출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한약 공공인프라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번에 구축되는 공공인프라는 ①한약 비임상연구시설(GLP), ②임상시험용 한약제제 생산시설(GMP), ③탕약표준조제시설 등 3개 시설이다. 2017년부터 3년간 총 300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합성의약품과 달리 천연물 의약품인 한약은 조제 기준 자체가 없거나(탕약), 안전성·유효성 검사가 일부 면제(한약제제)돼 품질관리나 안전성 측면에서 몇몇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현재, 탕약은 임상시험 및 생산 관련 별도 기준 없이 한의사가 한의원 등에서 조제 가능하다. 한약제제는 임상연구 및 생산 관련 규정은 있으나, 동의보감 등 고서(古書)에 근거가 있는 경우에 안전성·유효성 관련 임상시험이 면제돼 왔다.

 

앞으로 복지부는 원칙적으로 탕제와 한약제제를 포함한 한약도 다른 의약품과 동일하게 임상시험을 통해 안전성·유효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한약 공공인프라를 구축하여 단계적으로 안전성·유효성 검증을 지원하고, 협의를 통해 제도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한약 공공인프라 구축 사업을 통해 한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해 관련 정보를 국민들에게 정확하게 전달함으로써 한약에 대한 대국민 신뢰를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중국 한약제제에 비해 뒤쳐진 한약의 산업화 및 해외 진출 기반 조성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내용출처: 국가건강정보포털 보도자료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목록

리뷰 네비게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