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구안와사 원 병명은 ‘구안괘사’ | 건강
관리자 | 조회 2382 | 2017-09-01 11:58
말초성 구안괘사는 한의약적 치료가 단연 탁월
喎(괘)자는 입 삐뚤어질 괘자이나 무슨 이유에서 인지 구안와사로 널리 알려져 있다.
구안괘사는 안면신경의 마비로 인한 질환이며 크게 중추성 구안괘사와 말초성 구안괘사로 나눈다. 중추성 구안괘사는 뇌혈관질환 즉 중풍에 의한 마비 질환으로 예후가 좋지 못한 편이지만, 우리주변에 흔히 발생하는 것은 말초성 구안괘사다.
말초성 구안괘사의 경우 면역력과 관계가 깊고 면역력은 수면과 깊은 관계가 있다. 임상에서 보면 경찰관, 간호사, 3교대 근로자 등 야간 근무하는 분들에게 호발(흔하게 발생) 한다. 충분한 수면과 체력관리가 말초성 구안괘사 발병 확률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계절적으로 호발 계절을 특정할 수는 없지만 추운 겨울에 면역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건강관리에 특히 유의해야만 구안괘사의 발생을 예방함과 동시에 질환 발생 시 빠른 회복도 기대 할 수 있겠다.
말초성 구안괘사는 한의약적 치료가 단연 탁월하며 대개의 경우 후유증상 없이 잘 치료되는 질환 중 하나이다. 치료는 침, 한약, 약침 등의 한의약적 치료를 하게 되며 초기 발생 후 약 3주간은 매우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후유증상 없이 완쾌하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구안괘사의 발생 후 관리법을 살펴보자.
거울을 자주 보는 것은 좋지 않다. 매일 보면 증세가 빨리 호전되는 것 같지 않아 조바심만 날 뿐이다. 일정기간 치료 받고 생활관리 한 후 거울로 호전 정도를 관찰하는 것이 좋다.
환부를 따뜻하게 해 주어야 한다. 예로부터 다듬잇돌을 배고 자면 입 돌아간다는 말이 있었다. 여름철 땀 흘리다가 자동차 에어컨을 얼굴로 향해 놓고 운전하다 구안괘사가 발생하기도 하며 추운날씨에 땀 흘리며 운동한 후에 자동차 창문을 열고 운전도중 구안괘사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구안괘사 발생 시, 환부를 항상 따뜻하게 해야 하며 특히 침상이 창 쪽에 있다면 방향을 바꾸어 수면해야한다. 외부의 한기는 이렇게 제어 할 수 있고, 구강내의 한기는 따뜻한 음식물과 음료를 마심으로써 환부를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다. 차가운 물이나 음료수는 피하는 것이 좋다.
마비 질환이 발생하면 재활차원에서 운동을 한다. 얼굴 운동은 생소하겠지만 입을 크게 벌려 글을 읽는다든지 연기 전공자들처럼 표정연기를 하는 것이 안면근육 재활 운동이다. 손으로 입 꼬리 부분에서 귀 방향으로 뒤로 밀어 올리면서 마사지 해준다. 얼굴 근육은 양쪽으로 당기듯 유지되는데 마비된 쪽은 당기는 힘이 없어서 늘어지게 된다. 치료 받는 기간 동안 마사지를 해줌으로서 혹시 남을 수 있는 후유증상을 방지하고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안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수면 시나 외출 시에도 안대 사용이 권장된다. 심한 경우 눈이 반쯤만 감기는데 안구가 건조해져 눈물이 흐르고 눈이 충혈 되기 때문이다. 일분에 한 두 번씩 눈을 지그시 감아 양측이 모두 감기도록 한 후 안구를 상하좌우로 돌려 안구 건조를 방지해야한다. 생리 식염수로 간헐적으로 세척해 주는 것도 좋다.
잘 먹고 잘 자는 것이 중요하다. 구안괘사의 발생 원인이 체력저하 및 면역력 저하로 인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심리적인 안정과 함께 건강한 식사를 하고 충분한 휴식 및 수면을 취하는 것이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된다. 말초성 구안괘사의 경우 한의약 치료가 매우 효과적인 질환이며 대부분 후유증상 없이 호전되는 질환이니, 구안괘사가 발생하면 지체 없이 한방의료기관에서 즉시 치료 받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출처 대한 한의사협회 한의학과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