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칼럼>코칭톡톡 | 교육
관리자 | 조회 2274 | 2017-10-12 15:08
정보처리역량을 키우는 학습 코칭
독서를 규칙적으로 생활화하기 위하여 매주 토요일 새벽마다 독서모임에 참여하여 매주 한 권 이상 책을 읽었다. 독서는 책을 읽고 생각하고 토론하고 정리하여 기록해야 가치가 있는데, 지난날을 돌아보니 정리하고 기록으로 남기는 작업을 등한시 하였다. 알맹이가 없는 독서를 한 것이다. 항상 마음의 갈등을 하고 있던 차에 정보역량을 키우는 코칭을 한다는 소식을 접했다. ‘내 인생 최고의 기회’라는 생각으로 성실히 교육에 참여했다.
정보처리역량은 주어진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이다. 글을 읽고 파악하는 독해력이 선행되지 않으면 학업성취도 향상은 기대할 수 없다. 학습의 기본은 정보처리 역량이므로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배움에서 기본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 주어진 글을 읽고 주제를 파악하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독해력이다. 그러면 독해력을 어떻게 기를 수 있는가? 단문을 읽고 정리하는 연습이 좋은 방법이인데 교육을 통해서 얻은 효과는 세 가지라고 생각된다.
첫째, 개념집중력과 인지기억력 훈련에서 한 페이지 단문을 집중해서 읽고 중심단어 5개를 뽑은 후에 핵심어가 들어가는 글쓰기를 한다. 주어진 글을 읽고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다.
둘째, 구조화능력이다. 피드백 분야에서는 상위개념과 하위개념을 분리하고 논리적인 순서대로 정리하여 내용의 연결고리 관계를 구조도 또는 표로 작성한다. 그리하여 전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마지막 단계는 우뇌를 활용하여 확장적인 사고로 내용의 연결고리 관계를 마인드맵 또는 그림으로 정리한다. 일목요원하게 읽은 내용을 정리할 수 있는 아주 유익한 방법이다. 덕분에 요즈음 책을 읽으면 마인드맵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내용을 정리하는 취미를 갖게 되었다.
정보역량을 키우는 코칭을 한국장학재단에서 운영하는 멘토링 사업에서 멘티로 활동하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제안을 했다. 모두가 흔쾌히 동의를 해서 교육에 참여했다. 교육이 종료된 후에 소감을 물어보니 얼굴빛이 환해지면서 이구동성으로 “이런 코칭을 진즉에 받았더라면 좋았을 텐데” 하는 반응이다. 모두들 지금부터라도 배운 바를 꾸준히 실천하겠다고 싱글벙글이다.
코칭을 학생들에게 제안할 때는 과연 효과가 있을까? 하는 의구심을 가졌는데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으니 무척 흐믓하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어설 수 없다.”는 말이 실감난다. 단시간에 역량을 키워준 선생님이 자랑스럽다. 이처럼 훌륭한 교육 프로그램이 더욱 확대되어서 더 많은 청소년들이 정보역량을 바르게 키워서 학습력을 신장시킬 수 있기를 희망한다.
*교육문의 : 063-229-2580
글 기동환
핵심인재평생교육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