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리뷰 네비게이션

의학

본문내용

목록

제목

보건복지부 '노후생활 안정'을 위한 실천과제 발표 | 건강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관리자 | 조회 2778 | 2015-01-26 15:11

본문 내용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는 ‘국민행복’을 주제로 노후생활 안정을 위한 실천과제를 밝혔다. 활기찬 노년을 보낼 수 있도록 틀니․임플란트 치료비 지원 대상 확대, 노후소득 보장, 국민연금 사각지대 보완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1. 노인건강지원

현재 75세 이상 어르신들에 한해 건강보험에서 치료비를 지원(본인부담금 50%)하고 있으나 7월부터 70세 이상으로 지원대상을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70~74세 어르신들이 추가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치매예방 강화 - 치매치료 전문시설 확충 - 치매가족 간병 부담 완화’로 이어지는 치매치료 대책을 추진한다.

경로당·노인복지관·요양시설 등을 통해 치매예방수칙 3·3·3(3勸, 3禁, 3行)과 치매예방운동법을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한편, 요양시설 내 치매전담실을 운영하여 치매환자들을 위한 별도 생활공간을 제공하고, 주야간 보호시설도 확충한다.

건강보험공단 내 장기요양센터를 중심으로 치매가족 전문 상담서비스(스트레스 해소법, 문제행동 대처방법 등)를 제공하여 치매가족의 부담을 줄여줄 방침이다.

어르신들의 지혜와 경륜을 활용하기 위한 사회참여 활동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노인 사회활동지원(舊 노인일자리사업)사업을 31만개에서 33만8천개까지 확대하고, 자원봉사활동도 강화한다.

2. 노후소득 보장

지난 7월부터 시행된 기초연금을, 필요한 분들에게 빠짐없이 지원하기 위해 기초연금을 신청했다가 탈락되더라도 매년 수급대상이 될 수 있는지 재조사하여 새로이 수급자격이 되는 경우 다시 신청하실 수 있도록 안내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기초연금 수급자가 약 30만명 이상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14년 433만 → ’15년 464만명).

기금 500조(’15) 시대에 걸맞은 관리·운용체계를 마련하여 국민연금에 대한 국민 신뢰와 지속가능성을 제고해나갈 예정이다. 기금규모는 (‘00) 50조→ (‘15) 500조→ (‘22) 1,000조→ (‘43) 2,561조원으로 예상하고 있다.

<자료출처 : 보건복지부>


3. 국민연금 사각지대 해소

경력단절 주부, 실직자, 저소득 근로자 및 시간제 근로자 등 국민연금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557만명에게 국민연금의 자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과거 납부경력이 있는 주부의 경우, 보험료를 내지 않은 기간 동안의 전체 보험료를 추후라도 일괄 납부하면 국민연금 수급자격을 받을 수 있도록 빠르면 2월 국민연금법 개정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본인 명의의 국민연금 수급권 확보가 어려웠던 경력단절 주부 등 446만명에게 새롭게 수급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업크레딧 제도를 7월부터 도입하여 비자발적 실업으로 인해 보험료 납부가 중단되더라도 납부를 희망할 경우, 본인이 보험료의 25%만 내면 국가가 나머지 75%(월 최대 5만원)를 지원해 주게 된다. 대상은 국민연금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사람 중 18~60세 미만의 구직급여 수급자이며, 지원기간은 구직급여 수급기간 동안 최대 1년간 지원한다.

두리누리 사업에서 지난해까지 10인 미만 사업장의 월 임금 135만원 미만 소득자에 한해 연금 납부시 보혐료의 50%를 지원하였으나, 금년부터는 월 140만원 미만까지 적용기준을 완화하여 대상자가 138만명에서 146만명으로 확대된다. 대상은 10인 미만 사업장, 저소득 근로자 (월 임금 140만원 미만)이며, 지원수준은 사용자 및 근로자 보험료의 각 1/2 지원한다.

시간제 근로자 21만명은 현재는 하나의 사업장에서 월 60시간 이상 근무한 경우만 사업장 가입자로 인정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복수 사업장에서 근무하고 있더라도 월 60시간 이상을 채운 경우에는 사업장 가입자로 인정될 수 있도록 개선할 계획이다.

하반기 제도 개선이 이루어지면 약 21만명의 시간제 근로자가 새로이 사업장 가입자 자격을 취득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헬스케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목록

리뷰 네비게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