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리뷰 네비게이션

의학

본문내용

목록

제목

건강>정보> 다양한 간염의 종류 | 건강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관리자 | 조회 1992 | 2018-01-20 09:53

본문 내용

B 형 간염, 급성·만성 간염의 주요원인

 

 

   

B형간염 급성과 만성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B형간염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 빈도가 높을 뿐 아니라 간경변증이나 간암 같은 만성 간질환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B형간염은 바이러스가 오염된 혈액이나 다른 체액에 의해 혈관 또는 피부나 점막을 통해 감염된다. 눈물, , 소변을 통해 감염된 사례는 없어 일상적인 접촉에 의한 전파 가능성은 낮다. 주요 감염 경로는 B형간염 산모로부터 출생한 신생아로 전파(주산기감염), 오염된 주사기에 찔리거나 침습적 검사 및 시술을 통한 감염, 그리고 성 접촉 등이 있다.

 

급성 B형 간염은 급성증상으로 황달, 흑뇨, 식욕부진, 오심, 근육통, 심한 피로, 우상복부 압통 등이 나타나나 무증상 감염도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6개월 이내에 회복되나, 경우에 따라 만성 간염으로 이행하기도 한다.

 

만성 B형 간염은 무증상에서부터 피로감, 전신권태, 지속적인 또는 간헐적인 황달, 식욕부진 등 다양합니다. 정맥류 출혈, 간성 혼수, 혈액응고장애, 비장비대, 복수 증상을 유발하는 간경변증과 간암 등의 합병증이 있다.

 

B형간염의 치료법 및 예방법은 성인의 경우 대개 자연적으로 회복되어 만성적으로 진행하지 않으므로, 대증요법을 시행한다. 만성 B형간염 환자는 면밀한 병력 청취와 신체 검사, 혈액검사 등을 포함하는 정기적인 진료가 필요하다. 바이러스의 증식 정도 및 간 손상 여부를 평가해 필요한 경우 항 바이러스제를 투여한다.

 

B형간염 예방을 위해 신생아 및 영아는 표준예방접종일정에 따라 생후 0, 1, 6개월에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 과거 감염력과 백신 접종력이 없는 소아청소년 및 성인은 예방접종 대상이며, B형간염에 노출될 위험이 높은 사람(만성 B형간염 환자의 가족, 혈액투석 환자 등)은 우선접종 권장 대상이다.

 

 

 

출처 질병관리본부 보도자료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목록

리뷰 네비게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