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리뷰 네비게이션

의학

본문내용

목록

제목

건강>정보>야외활동시 진드기 매개감염병 주의 | 건강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관리자 | 조회 2051 | 2018-04-27 18:59

본문 내용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첫 사망자 발생

   

 

 

   질병관리본부는 420일 충남지역에서 올해 첫 번째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사망환자가 보고됨에 따라 진드기 매개 감염병인 SFTS에 대한 주의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충청남도 청양군에 거주하는 A(여자, 62)413일 발열 및 설사 증상으로 415일 병원 응급실에서 대증치료를 받던 중,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16일 대학병원으로 이송 후 중환자실에서 치료받았으나 42021시경 사망(패혈증 쇼크, 간기능 상승,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하였다. A씨는 증상 발생 전 밭농사, 고사리 채취, 나물 캐기 등의 야외 활동을 하였다.

 

SFTS는 주로 4~11월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주로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린 후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을 나타내는 감염병으로 ‘13년 이후 환자는 607명이었고, 이중 사망자는 127명으로 확인되었다.

 

SFTS는 예방백신과 SFTS 치료제가 없어 농작업·등산 등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특히, SFTS 감염자 중에는 50대 이상의 농업 및 임업 종사자의 비율이 높아 농촌지역 고연령층에서 주의가 필요하다.

 

야외활동 후 2주 이내에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또한, 의료인들은 SFTS 발생 시기인 4~11월 사이에 고열(38-40),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 등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환자에게는 야외활동 여부를 확인하여 SFTS 진단이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유의하고, 심폐소생술이나 기도삽관술이 필요한 중증환자 시술 시에는 2차 감염에 주의해야 한다.

 

진드기 매개질환 예방수칙 및 주의사항은

작업복과 일상복은 구분하여 입는다.

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는다.

진드기기피제를 사용한다.

 

작업 및 야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 등)활동 시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거나 눕지 않는다.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린다.

밭에서 용변을 피하고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는다.

진드기가 붙어 있을 수 있는 야생동물과 접촉하지 않는다.

 

작업 및 야외활동 후

옷을 털고, 반드시 세탁한다.

즉시 목욕하고, 옷 갈아입는다.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 한다.

진드기에 물린 것이 확인되면 바로 제거하지 말고 의료기관 방문한다.

 

출처 질병관리본부 보도자료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목록

리뷰 네비게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