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리뷰 네비게이션

의학

본문내용

목록

제목

의학>정보>「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시행 | 의학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관리자 | 조회 2169 | 2018-07-05 20:57

본문 내용

똑똑한 건강관리, 보건소 현재보다 2배 확대

 



 

 

 

  

   보건복지부는 만성질환 위험군 대상으로 모바일 앱을 통해 생활습관 개선, 만성질환 예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사업을 올해 72일부터 기존(34개소)2배 규모인 70개 보건소로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서비스 이용자 규모도 2배로 확대하여, ‘174,080명에 이어 올해는 전국 70개 보건소에서 8,000명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2017년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시범사업 평가 결과(한국건강증진개발원, ‘17.12.), ’17년 이용자 4,080명 중 93.7%3,824명이 서비스 제공기간인 6개월간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의 건강관리 효과와 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보다 많은 국민들이 모바일 앱을 통한 생활습관 및 건강상태 개선 효과를 경험할 수 있도록, 올해부터 사업 참여 보건소 및 이용자 수를 크게 확대하였다.

 

   올해는 사업 참여 보건소(70개소)에서 관내 지역 주민 또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서비스 신청을 받으며, 보건소별 평균 120(60~300명 수준), 전국 총 8,000명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참여자 모집인원 및 등록기간은 보건소별 여건에 따라 자율 선정·운영한다.

기존 34개 보건소는 이미 이용자 등록 및 서비스 제공 중이며, 올해부터 새로 참여하는 36개 보건소는 72일부터 이용자 등록 및 서비스 제공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된다.

건강검진 결과 질환 전 단계로 혈압·혈당이 높거나, 복부 비만 등으로 만성질환 위험요인을 1개 이상 갖고 있으면 이용할 수 있다. 이용자 선정 시 연령·소득 제한 없다. 단 건강위험요인이 많아 시급히 예방·관리가 필요한 사람 또는 건강취약계층 우선 선정 가능하다.

 

  이용자는 보건소를 방문하여 상담을 통해 맞춤형 건강관리 목표를 설정한 후, 모바일 앱으로 운동·식사 등의 생활습관 개선 목표를 이행할 수 있도록 관리 받게 된다. 본인의 건강상태와 생활습관에 대하여 의사·간호사·영양사·운동전문가로 구성된 보건소 전담팀이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운동, 식습관, 생활습관 등)를 모바일 앱을 통해 제공한다. 또한, 건강·운동·영양 등에 관한 전문 상담도 주 1회씩 24주 동안 제공 받게 된다.

특히 올해부터는 건강생활 습관 개선에 대한 동기 부여 강화를 위해, 서비스 개시 시점에 심뇌혈관질환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추가하였다.

이용자에 대한 건강검사 및 설문 결과를 활용, 알고리즘을 통해 심뇌혈관질환 위험도 및 심뇌혈관 나이를 자동 산출하게된다. 어플리케이션()도 사용자 편의와 활용도를 높이고 건강관리에 대한 흥미를 유도할 수 있도록 보완하였다.

앱 디자인 개선, 사용자 주 이용 콘텐츠 설정 및 건강정보 SNS 공유 기능 추가하고 다양한 미션 부여로 이용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 하였다.

 

  보건복지부는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는 지난 2년간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생활습관 개선과 만성질환 위험 요소 감소 등에 효과가 검증된 수요자 맞춤형 건강관리사업으로 보다 많은 국민을 대상으로,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업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출처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 미투데이
  • 싸이월드 공감
  • 네이버
  • 구글
목록

리뷰 네비게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