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혈압약 복용하는 노인, 무더위에 더 위험!! | 건강
관리자 | 조회 2050 | 2018-08-11 10:44
땀 배출량 많으면, 자칫 생명 잃을 수 있어
올해 온열질환자는 1043명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61% 증가했다. 특히, 65세 이상 환자가 전체 28.4%(296명)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폭염에 취약한 노인과 만성질환자는 각별한 건강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폭염의 1차적인 신체 반응은 바로 ‘땀’이다. 무더위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땀을 통해 체외로 배출되는 수분과 염분 보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과도하게 수분과 염분이 배출될 시, 생명까지 위협받는 환자가 있다. 바로 ‘혈압약’을 복용하는 노인이다.
고혈압은 우리나라 60대 이상 고령층의 약 65%에서 관찰되고 있다. 동맥경화 뇌졸중, 심부전증 등 다양한 중증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고혈압환자는 체중조절, 식이요법과 함께 혈압약을 복용하며 혈압관리에 애쓰고 있다.
여름은 고혈압 환자에게 있어 비교적 안심할 수 있는 계절로 알려져 있다. 혈압으로만 봤을 때, 여름에는 낮아지고 겨울에는 높아지기 때문이다. 고혈압 환자는 상대적으로 안심하며 혈압조절을 소홀히 하기도 한다. 그러나 혈압약을 복용하면서 땀을 많이 흘리게 되면, 혈압이 더 낮아져 자칫 생명에 위협을 느낄 수 있다. 혈압약을 복용한 상태에서 땀을 과도하게 배출 할 시, 수분과 염분소실이 보충되지 못하면 혈액량이 부족해져 저혈압이 발생하거나 혈액 내 나트륨이 떨어져 의식을 잃기도 한다.
폭염이 지속되면서 땀의 배출량이 늘어나는데 수분 및 염분 섭취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으면, 위 사례와 같이 위험할 수 있다. 평소 싱겁게 먹도록 교육받았다 하더라도 혈압약을 먹는 환자는 땀으로 손실된 양만큼, 물과 소금을 충분히 보충해줘야 한다.
고혈압약을 안전하게 복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과 염분 섭취가 필수이다. 그 배경에는 혈압약의 성분에 있다. 안지오텐신 차단제는 심장과 콩팥 합병증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하다. 특히, 신장 사구체혈관의 높은 압력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어서 처방률이 높다. 다만, 수분과 염분이 부족할 때는 사구체 최소 압력보다 더 낮아질 수 있다.
사구체 여과율을 감소는 신기능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약은 고령이거나 탈수가 심하거나, 콩팥의 동맥경화증이 심한 환자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안지오텐신 차단제에 이뇨제를 추가한 복합제를 먹는 환자의 경우, 과도한 땀 배출로 혈액 내 나트륨이 갑자기 떨어져 의식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여름철 야외활동을 최소화해야 한다.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뉴스